겨울 시즌송 Again

해마다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순위가 상승하는 곡들이 있다. 봄에는 주로 ‘벚꽃’을 주제로 한 곡들이, 겨울에는 ‘크리스마스’와 ‘눈’을 연상시키는 곡들이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이번 주 차트에도 ‘크리스마스니까’와 ‘코끝에 겨울’이 400위권에 재진입하며 음원 차트에 겨울이 오고 있음을 알렸다. 이번 칼럼에서는 최근 5년간의 겨울 시즌송 매출 데이터를 리뷰해보고 올겨울 시즌송 시장을 전망해 보도록 하자. 
 
위 그래프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12월 월간 차트 100위권 내 겨울 시즌송의 매출 점유율을 나타낸 것인데, 2010년 5%, 2011년 4%였던 매출 점유율이 2012년에 11%로 증가했고 2013년에는 21%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4년에 다시 9%대로 내려왔다. 

2011년 이전까지만 해도 음원차트에는 ‘크리스마스’ 등을 주제로 한 신곡들을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2012년에 들어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와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등 자사 소속 가수들의 콜라보 음원 출시가 활발해지며 겨울 시즌송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2013년에는 이와 같은 소속사 가수들이 함께 부른 콜라보 음원 발표와 개별 가수들의 시즌송 발표가 증가했는데 특히, 엑소의 ‘12월의 기적’ 겨울 스페셜 앨범이 발매되면서 시즌송 시장의 매출이 급성장했다.  

2014년 겨울 시즌송 시장은 신곡의 출시가 줄어들며 2013년에 비해 매출이 다소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그 이유는 2013년에 100위권 내 16곡이었던 겨울 관련 음원이 2014년에 8곡으로 줄어들면서 신곡의 매출 비중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2013년까지 해마다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에서 출시해 오던 ‘Jelly Christmas’ 음원이 2014년에는 성시경의 ‘Winter Wonderland’음반으로 대체된 것도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위 그래프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겨울 시즌송이 발매되는 시기를 나타낸 것인데, 겨울 시즌송은 주로 11월 셋째 주부터 서서히 발매되기 시작하다가 12월 첫째 주와 둘째 주에 들어 가장 많은 곡이 출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무래도 11월까지는 기온이 낮더라도 본격적인 겨울과 연말 분위기를 느끼기 힘들어 제작사들이 12월 이후에 겨울관련 음원의 출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 그래프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주요 겨울 시즌송의 순위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겨울 시즌송은 주로 11월 말부터 출시가 시작되어 길면 1월 초까지 음원차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겨울 시즌송은 다른 계절송에 비해 그 수명이 7주 정도로 다소 짧은 특징이 있는데 이는 크리스마스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 그래프 보면 대부분의 음원이 크리스마스가 있는 12월 셋째 주와 12월 다섯째 주를 지나면서 순위가 급락했으며 1월 차트에서는 그 흔적을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 시즌송에 주로 등장하는 ‘크리스마스’를 연상시키는 ‘가사’와 ‘종소리’ 등 특정 사운드의 영향으로 해당 음원의 유통기한이 제작 당시부터 이미 12월 25일로 정해져 버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올겨울 시즌송 시장은 이번 주부터 시즌송에 대한 수요 증가로 해당 음원들이 속속 차트에 재진입하고 있고 최근 몇 년간 발표된 겨울 관련 곡들이 많이 누적되어 있어, 평소 수준의 기본적인 매출 점유율은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13년도와 같이 엑소 등 정상급 가수들의 시즌송 제작 참여 여부가 올해 시즌송의 시장점유율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12월은 전형적인 비수기로 음원시장의 경기가 다소 침체되는 시기이지만 음원의 수익을 떠나서 한 해를 마감하며 자신을 사랑해준 팬들의 성원에 보답하는 차원에서라도 겨울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시즌송 제작에 좀 더 많은 가수들이 참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가온차트 칼럼은 가온차트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아래 제 개인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업로드 당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글쓴이 약력>
데이터 저널리스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Cultural Management & Policy (M.E.)
Indiana State University, Music Business (B.S.)
Email: littlegiant911@gmail.com
https://www.facebook.com/musicbusinesslab

김진우 수석연구위원 ㅣ 2015-11-20


PC버전 |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