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판매량 리뷰 (2021)
































위 그래프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앨범(Physical) 판매량 400을 나타낸 것입니다. (1위부터 400위까지의 판매량 합계, 2021년은 1주차~50주차 까지의 결과임)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50주차 현재) 앨범 판매량이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 그래프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관세청에서 집계한 피지컬 앨범 수출액 연도별 추이를 나타낸 것입니다. (2021년은 1월부터 11월까지) 관세청 집계에 따르면 올해는 작년에 비해 50%가량 수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부터 11월까지) 일본에 대한 수출 비중이 전년 대비 12%P 감소했고, 중국과 미국이 각각 8%P, 2%P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이후 줄곧 40%가 넘는 수출 비중을 차지했던 일본의 점유율이 감소한 것은 그만큼  일본에 대한 KPOP수출 의존도를 낮춘 것으로도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일본에 대한 수출 비중은 감소했지만 수출액은 전년대비 약 12% 증가했습니다.)  

2021년 1월부터 11월까지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일본, 중국, 미국 3대 KPOP 앨범 수출 대상국의 월별 수출금액에 있어 국가별로 차이가 있는 것은, 해당 월에 출시되는 아티스트의 신보 발매 스케줄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1월부터 11월까지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일본, 중국, 미국 3대 KPOP 수출 대상국외에 인도네시아가 대만을 제치고 수출 비중 4위에 오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수출금액은 전년 대비 1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1월부터 11월까지 관세청 KPOP 수출금액 자료에 따르면 유럽 지역에서는 전년대비 영국 3%, 프랑스 36% 증가한 반면,  독일과 네덜란드가 각각 153%, 80%로 비교적 큰 폭으로 수출 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21년 1주차부터 50주차까지 가수별 누적 앨범 판매량 집계 결과, 방탄소년단이 가장 많은 약 7백2십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1주차부터 50주차까지 누적 앨범 판매량 남녀 비율은 남자 83.5% 여자 16.1%로 나타나, 전년 동기 대비 남자 아티스트의 앨범 판매량 비중은 3.4%P 증가, 여자 아티스트의 판매량 비중은 3.2%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1주차부터 50주차까지 TOP400기준 남자 가수별 누적 판매량 점유율은 방탄소년단이 15.8%, NCT 127은 8.9%, NCT DREAM 8.5%로 집계되었습니다. 참고로, 전년 동기 남자 가수별 점유율은 방탄소년단 28.4%, NCT 127 4.8% 였습니다. 

1주차부터 50주차까지 TOP400기준 여자 가수별 누적 판매량 점유율은 TWICE 18.2%, ITZY(있지) 10.5%, 리사(LISA) 8.7%로 나타났습니다. 참고로, 전년 동기 TWICE의 점유율은 16.6%였습니다. 


정리하면,
2021년은 TOP400기준 앨범 판매량은 최종적으로 6천만 장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해 보다 최소 31%(50주차 현재)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1주차부터 50주차까지 누적 앨범 판매량에서 1백만 장 이상의 앨범을 판매한 아티스트는 12팀으로 전년도 8팀에서 4팀 증가하였습니다. (누적 앨범 판매량: 해당 아티스트의 모든 앨범 판매량 합계)또한,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단일 앨범 기준 1백만 장 이상의 앨범은 총 10장으로 작년 6장에서 4장이 증가하였습니다.  

올해 KPOP 앨범 시장에서 전반적으로 일본에 대한 수출이 의존도가 감소하고 수출 대상 국가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점은, KPOP 수출 대상 국가 다변화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피지컬 앨범 시장의 성장을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 김진우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
 
*가온차트 칼럼은 가온차트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아래 제 개인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업로드 당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본 칼럼의 내용은 가온차트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글쓴이 약력>
 
1990년대 말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에서 뮤직비즈니스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CT 대학원에서 Cultural Management & Policy 석사학위를 받았다. 음악업계에는 1999년에 처음 입문하였으며 2009년에는 KT뮤직에서 차장 지냈다. DSP미디어 ‘카라프로젝트’ 전문심사위원과 Mnet ‘레전드 100송’ 선정위원, 가온차트 K-POP어워드 심사위원,엠넷 MAMA 심사위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심의위원, ‘SBS 인기가요’ 순위 산정방식을 설계할 때 알고리즘 자문을 맡기도 했다. 현재 음악전문 데이터 저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며, 대표 저서로는 ‘뮤직비즈니스 바이블’이 있다.

Email: littlegiant911@gmail.com
https://www.facebook.com/musicbusinesslab


김진우 수석연구위원 ㅣ 2021-12-20


PC버전 | 모바일버전